목록발 레/고전 발레 (10)
★ image or real
Harlequinade 마리우스 프티파의 안무, 리카르도 드리고의 음악을 사용한 고전발레이다. 초연은 러시아황실발레극장에서 1900년 2월에 이루어지게 된다. 총2막 구조의 작품으로 드리고의 음악 중 세레나데와 왈츠 등이 사용된다. 드리고는 러시아 황실 발레단에서 지휘자로 활동하기도 한 인물이다. 드라마 발레로 이야기가 상당히 재미있다. 이탈리아 베니스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다. 베니스 카니발에 열리고 있는 어느 마을에서 카니발의 왕과 여왕으로 뽑힌 남녀가 파드되를 추게 된다. 주인공인 할르퀸과 콜롬바인으로 서로 사랑하지만 콜롬바인의 아버지가 카산드라라는 부자에게 딸을 시집 보내려고 계획중이다. 콜롬바인의 아버지는 그녀를 집안에 감금시키게 되는데 할르퀸은 그녀에게 찾아와 세레나데를 부르며 사랑을 약속한다..
발레의 가장 유명한 백조의 호수나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공주 등의 작품은 말하기가 참 어려운 측면이 많다. 몇가지 이유를 말하자면 첫째 이 세작품은 발레에 있어서 가장 유명한 대작중에 대작이다. 특히 백조는 발레 그자체로 칭송받을 정도의 작품인바 이런 작품에 대해서 뭐라고 말을 한다는건 쉬운일이 아니다. 두번째 이유로는 이 세작품은 정리가 대단히 힘들다. 안무가 너무 많고 특히 제일 심한게 호두까기 인형이다. 그래도 일단 주변분들이 올해는 호두까기를 보러 가겠다고 공언하셨기에 최선을 다해서 정리를 해볼까 한다. 스샷은 1994년 (구) 키로프의 DVD를 사용한다. 그리고 호두까기 인형의 여주인공 이름은 클라라이지만 마샤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글에서는 클라라로 통일하겠다. 구조 및 특징 호두까기 인형은..
Grand Pas Classique 안무가는 빅토르 그소브스키(Victor Gsovsky)이며 음악은 Auber의 작품을 사용한다. 초연 날짜는 1949년 11월 12일 파리의 샹젤리제 극장에서 이루어진다. 이작품은 Gsovsky가 샹젤리제 발레단의 단장으로 재임시에 안무가 완성된 작품으로 초연 당시 무용수는 Chauviré와 Skouratoff이다. 상당히 인기가 좋은 작품으로 아주 눈부신 고전 발레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일단 기본적인 형태는 그랑파드되이다. 두 명의 주역이 등장하여 첫번째 아다지오가 등장하고 각각 바리에이션 즉 솔로를 행한뒤 코다로 마무리짓는 형태이다. 1949년에 만들어진 작품이지만 테크닉적으로 진일보한 전형적인 고전발레 형태를 띄고 있는 작품으로 상당한 커리어를 가지고 있는..
발레 '파라오의 딸' 1862년 볼쇼이에서 초연되었으며 안무가는 러시아 발레의 아버지인 프티파이다. 수에즈운하 개통 기념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며 프티파가 단 40일만에 무대 장치, 의상, 안무 모든 것을 해결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작품은 프티파가 라 바야데르를 만들기 이전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이집트라는 배경을 통해 서구중심에서 벗어난 최초의 작품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공연되는 안무는 피에르 라코트의 복원안무로서 복원안무는 2003년 볼쇼이에서 초연되었으며 그 공연이 위의 DVD이다. 피에르 라코트는 이작품 외에도 파키타와 라 실피드등을 원전 복원하였다. 저 DVD는 국내에선 못구하며 본인도 아마존에서 PAL 버전으로 구해와서 보았는데 사실 실망을 많이한 작품이다. 줄거리 남자주인공이 이집트 탐험 중 잠들..
발레 라 바야데르(La Bayadere) 러시아 발레의 아버지. 마리우스 프티파의 안무로 1877년 러시아 황실발레단인 마린스키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음악은 밍쿠스의 음악을 사용한다. 작곡가 밍쿠스(Minkus)의 음악중 가장 유명한 곡으로 하나는 돈키호테이고 나머지 하나는 바로 이 라 바야데르이다. 이 작품은 안무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는데 프티파의 안무를 기본으로 하여 차부키아니, 세르게이예프, 누레예프, 마카로바가 수정보완하여 총 4가지의 안무가 존재한다. 이작품은 러시아에서는 역사가 깊지만 서구에는 누레예프가 1961년 유럽으로 망명한뒤 3막 망령의 왕국 발췌공연으로 알려졌다. 이 총 4가지의 안무는 다시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바 3막에 '망령의 왕국을 넣고 그것으로 마무리짓는 세르게이예프, 누레예프..
Paquita 19세기즈음의 프랑스 점령하의 스페인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지극히 프랑스적인 발레이다. 안무는 크게 세가지 종류가 있는데 조제프 마리지에판, 마리우스 프티파판 그리고 피에르 라코트판이다. 음악은 밍쿠스(Ludwig Minkus)와 델드베(Edouard Deldevez)의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전형적인 프랑스 궁중발레의 그것이다. 대단히 귀족적이고 우아하며 화려하다. 안무 안무와 관련해서 말하자면 조제프 마리지에의 안무는 델드베의 음악만을 사용하여 1846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에서 초연되는데 이 안무 원형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마리우스 프티파는 러시아의 위대한 안무가로 그의 대표작으로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잠자는 공주, 지젤, 레이몬다, 해적 등이 있으며 파..
Don Quixote 세르반데스의 돈키호테를 원작으로 하여 만들어진 발레이다. 배경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이다. 대단히 밝고 경쾌한 분위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유니버설과 국립 둘다 레파토리를 가지고 있다. 원색의상의 강렬함이 눈에 띄이고 스페인 특유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음악과 스페인 무용이 특징이다. 음악은 밍쿠스의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밍쿠스는 차이코프스키와 동시대의 사람으로 러시아 황실발레단의 수석작곡가였다. 대표작으로 돈키호테, 라 바야데르, 파키타가 있으며 주로 프티파와 작업하였다. 물론 나중에는 프티파는 차이코프스키와 주로 작업하게 된다. 그의 음악세계는 차이코프스키 정도의 명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발레음악으로는 사실 흠잡을때 없는 좋은 음악을 들려준다. 돈키호테는 수준 높은 테크닉과 연기력을 요..
로열 발레단의 백조의 호수 로열 발레단의 백조는 크게 두가지 공연을 보았었는데 첫째는 1982년도의 마카로바와 도웰이 주연한 공연으로 프레드릭 애쉬튼과 누레예프의 수정안무가 추가된 버전이며 두번째 공연은 2009년에 나온 Thiago Soares와 Marianela Nunez의 주연으로 이 공연은 애쉬튼과 David Bintley의 추가 안무가 삽입된다. 사실 난 이 2009년도 공연은 구입하지 않을 계획이었다. 왜냐면 치마길이때문이다. 제일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용납할 수 없는 치마길이를 가지고 등장하게 된다. 왜 백조에서 로맨틱 튀튀를 입는건지 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딱 보는 순간 든 생각은 하나뿐이다. 가위로 다 잘라버리고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을 블루레이로 소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