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라캉 (31)
★ image or real

18강 철학을 배워 봅시다 라캉(라깡) 총 정리 시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통합적으로 살펴 봅니다. 2020년 6월 23일 라이브 방송 편집본입니다. 2시간 정도 통합적으로 살펴 봅니다. 라깡을 공부하는 순서 1. 소쉬르의 랑그 언어학을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3PhmCqtARc 2. 데카르트가 전하는 나는 누구인가? 절대주체란 무엇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F2WTv0a4lIE 3. 구조주의 철학을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XEu0ONea0 4. 라캉(라깡)의 상상계를 쉽게 배워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SvB2zf2G60..

10강 철학을 배워 봅시다. 라캉이 말하는 실재계를 배워 봅시다. 라깡을 공부하는 순서 1. 소쉬르의 랑그 언어학을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3PhmCqtARc 2. 데카르트가 전하는 나는 누구인가? 절대주체란 무엇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F2WTv0a4lIE 3. 구조주의 철학을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XEu0ONea0 4. 라캉(라깡)의 상상계를 쉽게 배워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SvB2zf2G60 5. 라캉(라깡)의 상징계를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xQqrHCOc3k ..

8강 철학을 배워 봅시다. 라캉이 말하는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다 라깡을 공부하는 순서 1. 소쉬르의 랑그 언어학을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3PhmCqtARc 2. 데카르트가 전하는 나는 누구인가? 절대주체란 무엇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F2WTv0a4lIE 3. 구조주의 철학을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XEu0ONea0 4. 라캉(라깡)의 상상계를 쉽게 배워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SvB2zf2G60 5. 라캉(라깡)의 상징계를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xQqrHCOc3k 6..

7강 철학을 배워 봅시다. 라깡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배워 봅시다. 라깡을 공부하는 순서 1. 소쉬르의 랑그 언어학을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3PhmCqtARc 2. 데카르트가 전하는 나는 누구인가? 절대주체란 무엇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F2WTv0a4lIE 3. 구조주의 철학을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XEu0ONea0 4. 라캉(라깡)의 상상계를 쉽게 배워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SvB2zf2G60 5. 라캉(라깡)의 상징계를 쉽게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xQqrHCOc3..
라캉 정신분석의 이해 타인이나 타 문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시간과 거리를 둔 채 관찰해야 한다는 구조주의의 기본적 태도는 타인에 대한 관찰을 넘어 나 자신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나는 나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는 데카르트의 자아 명증성은 사실 모호한 측면이 많다. 생각을 멈추는 순간의 나는 무엇인지? 그리고 내안에 존재하는 ‘또 다른 나’라는 형태의 정확히 알 수 없는 다른 무엇의 경험은 무엇인지? 이러한 경험을 두고 "내 안에 있는 타인" 또는 "나는 하나의 타인이다"라는 말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며 이는 데카르트의 주체관을 철저하게 의심스러운 것으로 만들게 된다. 진정한 나를 알기 위해선 내안에 있는 ‘또 다른 나’를 거리를 둔 채 응시하고 관찰하여 내 안에 있는 그를 바깥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아야 ..
괴테의 파우스트와 근대성의 비극 괴테의 파우스트. 이 작품은 총 2부로 나눌 수 있는 작품인데 보신분은 거의 없을거라 예상하고 내용설명을 가볍게 해보겠다. 파우스트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평생을 놓고 모든 공부를 다 하고 모든 것을 다 깨우쳤다고 생각하지만 결국 이 세상의 본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채 늙어버렸다고 한탄을 하게 된다. 이를 본 악마 메피스토펠레스가 계약을 맺자고 꼬시는데 원하는 것은 전부 이루게 해줄테니 니가 만족을 하는 순간 너의 영혼은 악마의 것이 된다는 것이다. 1부는 관두고 2부는 흔히 헬레나 비극과 지배자 비극이라고 부르는데 지배자 비극 부분만 조금 더 살펴보자. 여기서 파우스트는 왕을 도와 공을 세우게 되고 그리하여 일정 정도의 땅을 하사받게 된다. 그리고 파우스트는 이..
하루키의 신작 소설인 1Q84는 사이비 종교라는 사회적 요소와 두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잘 버무러지면서 다양한 상징들로 점철된 좋은 작품으로 생각된다. 일단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그의 작품세계 전반에 흐르고 있던 허무적 감상주의가 좀 사그라든게 아닌가? 라는 점과 1Q84나 리틀피플, 공기번데기 등의 환상적 요소를 집어넣은 것이다. 특히 리틀피플이나 공기번데기라는 부분이 대단히 흥미로운데 생각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요소를 끄집어낼 수 있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선구와 사회적 외상 소설내에서 선구라는 단체는 초기에는 농업 코뮌주의에서 시작했으나 비밀결사인 사이비 종교단체로 변질하게 된다. 익히 알려진바 이 소설은 일본 지하철에 가스를 살포하는 테러를 가한 옴진리교 사건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선구는 이 ..
몇일전에 어디선가 읽은 것인데 요즘 젊은 비평가들은 다양한 이론의 각을 날카롭게 세워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았다. 나 역시도 그런 스타일을 고수하는편이고 그렇게 하는것이 재미가 좋다. 물론 지나치게 도식적이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겠지만 사실 그런 도식적인 것도 거의 없는게 우리나라 현실인지라 이런 저런 것을 따질 형편은 아닌것 같다. 그 이론들이라는 것의 대부분이 현대 프랑스철학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세사람은 역시 들뢰즈, 라캉, 푸코가 아니겠는가? 라캉을 기반으로 하여 또 다른 사유를 펼쳐내는 지젝도 역시 현대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일 것이다. 그중에서 집중하고 싶은 사람은 바로 라캉. 현대 정신분석학의 위대한 거장 3인중 한사람으로 프로이트로 돌아가야 함을 끊임없이 강조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