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 레/이론 (5)
★ image or real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남도(南道) 무무(巫舞) 계통의 춤으로 살, 즉 액(厄) 을 푼다(제거한다)는 뜻을 가진 민속무용이다. 살풀이춤의 진가를 알아본건 해외에서 먼저이다. 몇년도인지는 모르겠지만 프랑스에서 아비뇽 축제를 열면서 한국에서도 무용수들을 초청해가기 위해 관련자들이 잠시 온적이 있었다. 그들 앞에서 다양한 무용수들이 춤을 추었지만 그들 전부가 서양의 것을 계수한 무용형태였던지라 독창성의 부재로 큰 관심을 못끌게 된다. 그러다 그들은 우연히 이매방 님의 살풀이춤을 보게 되는데 정작 보여주는 우리쪽 관계자는 큰 기대를 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과는 정반대로 엄청난 관심을 끌게 되고 살풀이춤은 그 축제에 초청된다. 즉 독창적이기에 관심을 끌게 된 것이며 그 독창성은 유럽의 전통 춤과 현대적..
발레를 왜 좋아하십니까? "아름다워서 좋아합니다. 유럽과 러시아의 사람들이 만들어낸 춤의 정수가 그곳에 다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동양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미를 확인할 수 있죠. 아마 유럽인들도 우리의 춤을 보면 비슷한 감정을 느낄겁니다. 익숙하지 않은 독특한 문화권에서 형성된 춤의 정수이니깐요." 가장 우수한 발레단은 어디입니까? "사실상 오늘날 특A급 발레단들의 수준을 줄세우는건 무의미합니다. 유명한 발레단은 유명한 안무가가 있었기에 명성을 떨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뛰어난 안무가가 있기에 뛰어난 무용수들이 자연스럽게 모여듭니다. 그렇게 특A급 발레단이 형성되는거죠. 결국 스타일이 다르기에 단순 비교는 무리입니다. 그렇기에 전 질문을 바꿔보겠습니다." 가장 위대한 발레단은 어디입니까? "네 그곳..
고전발레 낭만발레가 매너리즘에 빠지게될 무렵 프랑스출신의 발레교사인 마리우스 프티파가 러시아로 진출하게 된다. 프티파가 1847년 수석무용수로 러시아 황실발레단인 마린스키 발레단에 합류한뒤부터 50여년동안 러시아 발레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게 되어 사실상 러시아를 발레의 변두리에서 중심으로 끌어오게 된다. 보통 예술사조의 흐름은 고전에서 낭만으로 흐르게 되지만 발레는 특이하게 낭만에서 고전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개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선 고전발레라고 하는 것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게 된다. 발레에서 고전이라함은 안무의 스타일을 의미하는 것이며 어느 시대적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낭만발레는 시대적 상황과 당시 예술 흐름에 강한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고전발레는 그 발생이 ..
Soul Sunflower 한국 국립 무용단과 페터 쉰들러가 이끄는 살타첼로(SALTACELLO)가 만나서 이루어진 2006년도 공연이다. 작곡은 페터 쉰들러가 맡게 되며 안무가는 배정혜이다. 배정혜님은 200~2002년도 국립 무용단 단장과 1989~1998년도 서울 시립 무용단 단장을 맡은바 있는 안무가이다. 대충 살펴보자면 살풀이 춤의 현대적 해석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굳이 그런말을 들지 않더라도 상당히 독창적인 작품임은 쉽게 알 수 있다. 뭐 일종의 동서양 크로스오버라고 볼 수 있을려나? 작품해설 이 작품은 살풀이춤의 그것을 기반으로 한채 현대무용으로 승화시킨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음악은 서양의 밴드가 와서 서양의 악기를 이용하지만 리듬이 우리의 전통 리듬과 서양의 것을 적절히 섞어서 제시하게 된..
낭만주의와 낭만발레 혁명 이후 발레는 내용이나 테크닉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되는바 특히 당시 사조인 낭만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며, 이러한 경향은 1830~40년 사이에 절정을 이루게 된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인간의 권리와 가능성에 대한 관심의 고조 그리고 혁명. 이에 따른 고전적 문화의 규칙성이나 규율 즉 아카데미즘에서의 해방의 요구 그리고 감정과 상상력의 강조로 요약할 수 있다. 물론 모든 예술에서 감정을 빼고 이야기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시대의 감정적 요소는 주제와 전달과정에서의 감정을 중시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나타나는 또다른 특징은 혁명과 잇다른 전쟁으로 인해 현실 도피적 성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현실에 대한 불만은 그것에서 벗어난 환상적 공간으로의 갈망을 불러오게 되고..